기사 메일전송
안민석의원, 의·약대생 고소득층 쏠림현상 - 주요대학 의약·대생 중 절반이 고소득층 학생
  • 기사등록 2017-10-19 22:10:38
기사수정

【오산인터넷뉴스】홍충선 기자 = 주요대학 의·약대생 절반은 고소득층 자녀인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서울대·고려대·연세대 이른바 SKY대학 의·약대생 고소득층 학생은 3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안민석 의원이 한국장학재단을로부터 제출받은 <201520178개 주요대학 의약계열 재학생 국가장학금 신청자 소득분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약대생 53%는 고소득층 자녀인 것으로 조사됐다.

 

월 소득 982만원 이상인 소득분위 8~10분위와 등록금 부담이 별로 없어 신청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는 미신청자를 합한 인원이다. 또한 기초생활수급자부터 소득 2분위까지 저소득층 학생은 고소득층 학생의 절반도 못 미치는 평균 22%에 불과했다.

 

한편, 8개 대학 고소득층 학생 비율은 3년간 52%에서 53%1%p 상승한 것에 비해 SKY대학은 201558%, 201660%, 201762%로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했으며, 고소득층 학생 비율이 해마다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SKY대학은 의·약대생 1877명 중 1168, 62%가 고소득층 자녀로 나타났으며, 특히 월 소득 1,300만원이 넘는 10분위 학생들은 751명으로 전체 38%로 고소득층 쏠림 현상이 더 심각했다.

 

같은 시기 SKY대학 기초생활수급자 학생은 단 51명인 것과 비교하면 14배 많은 수치이고, 올해 고소득층 비율은 고려대가 67%(464명 중 310)8개 대학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 의원은 로스쿨처럼 의·약대생 고소득층 쏠림현상은 단순한 우연이 아니며, 고소득사교육명문대 엘리트고소득이라는 심각한 부의 대물림, 교육의 양극화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더 많은 저소득층 학생들이 의사, 약사가 될 수 있도록 사회적 관심과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도 저소득층과 지방고 졸업생이 의약학계열에 입학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겠다고 국정과제로 발표한 바 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7-10-19 22:10:38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최근 많이 본 기사더보기
뉴스제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