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hong 기자
오산지역 상당수 사회적기업(오산형,예비,인증 등)들이 토로하는 넉두리다.
17일 시와 주민 등에 따르면 오산형사회적기업,예비사회적기업,마을사회적기업,인증사회적기업 등을 통칭하는 사회적기업은 취약계층을 고용하거나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생적 영업활동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전국적으로 지난 2007년부터 본격 시작됐으며 오산시는 2010년 말에 사업추진을 구체화 했다.
시는 현재 오산형사회적기업 5곳, 예비사회적기업 6곳, 마을기업 2곳 등 모두 13개의 사회적기업 양성에 나서고 있다.
이들은 최종 인증사회적기업을 목표로 일정한 기간마다 재심사를 거쳐 단계적으로 인건비,사업개발비 등 예산을 지원받으며 승격한다.
오산형은 최대 3천만원, 예비사회적기업은 600만원~6천만원 정도 예산을 지원받는다.
지금까지 시가 지원한 예산총액은 2억2천600만원이다.
그러나 이들은 사회적기업 설립으로 오히려 생활경제가 위축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고용없는 성장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자구책’ 이라는 ‘허울 좋은 명분’과는 달리 ‘말 못할 고충’으로 속앓이를 하는 것이다.
오산형사회적기업을 창업한 A씨는 “많은 사람들이 함께 잘살기 위해 사회적기업을 시작했지만 주위의 편견 등 시선이 곱지 않다” 며 “예산을 지원받기는 했지만 사회적기업 운영전 보다 오히려 생활이 어려워져 경제적 문제에 시달리고 있다”고 불평했다.
그는 또 “처음엔 관심과 기대를 가졌던 구직자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흥미를 잃고 떠나가고 있다” 며 “구인이 하늘의 별따기”라며 털어놨다.
여기에 “볼펜 한 자루를 살 때도 견적서를 제출해야 한다” 며 “그렇지 않아도 여러가지로 힘든데 이런 작은 것 까지 신경을 써야 하는 부분이 갑갑하다”고 푸념했다.
또 다른 오산형사회적기업 운영자 B씨는 판로개척과 서류상 복잡한 과정 등을 어려움으로 제기했다.
B씨는 “물건을 만들어도 판로개척이 힘들어 경제적 문제를 겪고 있다” 며 “이 외에도 서류절차가 복잡해 신경쓰인다”고 말했다.
사회적기업을 창업하기 위한 신청과정은 서식에 맞춘 사업계획서 등 10여 종의 각종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그는 또 “다른 어려움이 있어도 말을 할 수 없다” 며 행정기관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는 현실을 시사했다.
시 관계자는 “사회적기업의 사회공헌은 시간도 오래 걸리고 시행착오가 불가피할 것으로 본다”며 사회적 기업들의 어려움을 인정했다.
덧붙여 “그러나 지역문제를 같이 풀어나가는 기업의 사회적책임은 이제 필수” 라며 “사회적기업이 재정한계를 보이지만 노력과 협동으로 어려움을 극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사회적기업사업으로 혜택을받은사람 있지요 그중에 오산시장님 관련되신분도계신다는데 철저히 밝혀서 오산시민께 공개해주세요
사회적기업 빛조은 개살구다.
명품신도시님, 오산인터넷뉴스입니다. 댓글관련,당사자께서 기사내용과 무관하고 인신공격을 당하는 심정이라며 <정중히 삭제를 요청한다>고 밝혀 왔기에 명품신도시님의 양해를 구합니다. 따라서 오산인터넷뉴스는 오늘(18일) 낮 12시를 기해 댓글을 임의삭제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