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hong 기자
【오산인터넷뉴스】이영주 기자 = <속보> 오산문화재단 설립-시기상조 논란(2012.5.20 보도) 관련, 오산문화재단(이하 재단) 설립 타당성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시가 재단 설립에 앞서 여론수렴을 위해 실시한 표본조사 대상을 500명으로 설정한 건 너무 적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또 오산과 면적·인구 면에서 비슷한 시세를 갖춘 타 시·군에 비춰볼 때 재단 설립은 적절치 않다는 것.
| |
▲ 오는 7월 개관 예정인 오산문화재단.이를 두고 적절성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
23일 시와 주민 등에 따르면 재단 설립을 위해 시는 당초 타당성 조사인원을 500명으로 정했고 설문조사 결과 340부만 회수됐다.
게다가 설문 대상도 각 동 주민센터 문화수강생으로 한정해 “시에서 동으로 다시 주민으로 건네지는 가장 쉬운 방법을 택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아울러 조사 시점이 인구 20만명을 육박하는 상황에서 대상 인원 500명은 고작 0.25%에 그치는 등 너무 적었다는 것이다.
최소한 전체 인구의 1%(2천명)를 표본 대상으로 삼았어야 했다는 지적이다.
또 특정 주민에 국한하지 않고 각계 의견을 수렴해야 하는데 문화 쪽에 관심을 갖고 활동하는 부류로 정했기 때문에 객관성을 외면하지 않았냐는 비판도 있다.
시 관계자는 “조사 대상을 각 동 문화센터 수강생으로 정한 건 그들이 최대 수혜자이기 때문” 이라며 “생활에 바쁜 시민들에게 문화시설(프로그램)을 제공한다고 하면 관심없다는 반응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또 “비교·분석해 발전적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그들을 대상으로 정한 것이고 조사 인원 500명은 적절한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그렇지만 오산과 인구·면적 등 분야에서 비슷한 시세를 가진 구리, 의왕, 군포 등 타 지방자치단체와 비교할 경우 재단 설립은 시기상조라는 시각도 있다.
더욱이 인구 19만4천명으로 가장 닮은꼴을 보이는 구리시는 “‘재단 설립 보다는 (재단)운영법 익히기가 먼저”라고 밝혀 “일단 짓고 보자”는 오산시와 상대적 차이를 보였다.
또 구리시는 “향후 3년간은 문화재단 설립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구리시 관계자는 “문화재단 건립 계획이 없으며 앞으로 3년간 (재단 건립 계획이)없을 예정이다” 며 “문예회관 ‘아트홀’ 운영을 통해 방법을 터득한 뒤 (재단 설립을)해도 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재단 정관은 ‘문화예술의 창작·보급을 통해 시민들의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시민들의 문화복지 구현에 이바지함’을 재단 설립·운영의 목적으로 명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