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hong 기자
【오산인터넷뉴스】이영주 기자 = 임금인상안 등을 놓고 오산시와 교섭에 나선 환경미화원들이 최악의 경우 11월8일 파업을 예고하고 있다.
이는 양측의 협상결렬에 따른 실력행사로 자칫 시전역이 쓰레기 대란에 휩싸일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 |
▲ 오산시 오산동 중원사거리 인근 보도에 음식물쓰레기 등 생활쓰레기가 쌓여 있다. |
6일 시와 환경미화원 등에 따르면 시 직영 소속 환경미화원들은 앞서 3일부터 쓰레기 수거 업무를 하지 않았다.
환경미화원들은 61명으로 오산동 일부, 가장동, 은계동, 궐동 등을 수거지역으로 맡고 있다.
이 가운데 중앙재래시장 쪽 도로변에 놓인 쓰레기가 수거되지 않은 것이다.
| |
▲ 도로변은 음식물쓰레기와 곳곳에 쌓인 쓰레기 등으로 미관을 해치고 있다. |
이 때문에 이 일대 주민들이 겪는 불편은 말할 나위도 없다.
악취와 미관저해 등으로 직접 빗자루를 들고 청소하는 주민들까지 등장했다.
또한 도로 옆에 방치된 음식물쓰레기 봉투는 차량 등에게 치어 터지면서 도시미관도 저해하고 있다.
주민 A씨는 “쓰레기 봉투가 가게 앞에 쌓이면서 손님들이 눈살을 찌푸리고 있다” 며 “악취나 해충 등으로 괴롭다”고 말했다.
| |
▲ 한 주민이 직접 빗자루를 들고 나와 청소하고 있다. |
이어 그는 “쓰레기를 치우는 사람도 그렇지만 함부로 버리는 사람도 문제”라며 “CCTV 등을 설치해 쓰레기 봉투를 사용하지 않고 무단투기하는 행위를 단속했으면 좋겠다”고 토로했다.
사태가 이렇자 주민들은 시 홈페이지(오산시에 바란다)에 민원을 제기하는 등 전면으로 나서 대책을 촉구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전·현직 시의원들도 문제해결을 위해 적극 앞장서고 있다.
환경미화원들이 요구하는 사항은 ▲임금 9.3% 인상 ▲인력충원·민간위탁금지의 명문화 등이다.
도내 31개 시·군 가운데 15개 시·군 민주연합노조에 가입한 환경미화원들이 지난 8월 경기지방노동위원회와 집단교섭을 시도했다.
이는 노조에 가입한 미화원 1천400여 명이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거친 결과이며 이후 노동위원회 위원장이 두 차례 조정신청을 했으나 접점을 찾지 못해 중재되지 못했다.
연합노조 오산지부 관계자는 “주5일제에서 휴일근무는 강제사항이 아닌데 그동안 시민들의 편의와 서로의 입장을 봐서 일했던 것”이라며 “파업을 앞두고 현재 시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이번 대화에서 시와 입장차이를 좁힐 의사가 충분히 있다”고 말해 극적합의 여지를 남겼다.
이에 시는 “당초 파업 예정은 8일부터라고 (미화원들에게)통보 받았다” 며 “3일 새벽 시 환경과 직원 10여 명이 주요도로변 등을 청소했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만일 파업이 장기화 될 경우 (환경미화원 일을)내부 직원으로 대체할 계획이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