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사설] ‘호랑이 온다’보다 무서운 불평등 증여세 - 청문회 이후, 국세청의 대응이 궁금하다
  • 기사등록 2025-06-28 09:49:43
기사수정

【오산인터넷뉴스】 “울면 호랑이가 잡아간다.” 어린 시절 수없이 듣던 겁주기다성인이 된 지금호랑이는 국세청으로 바뀌었다.


직장인 친구가 아들 결혼 자금으로 5천만 원 주려고 하는데 증여세가 걱정된다며 한숨짓는 모습은 낯설지 않다현행법상 직계존속이 자녀에게 10년간 5천만 원까지 증여하면 비과세지홍충선 대표대부분의 부모는 혹시 빠진 서류가 있을까 불안해 세무서를 찾는다이것이 성실 납세자의 일상이다.


반면 청문회장의 풍경은 딴 세상 같다고위 공직자 후보자 재산 내역에는 생활비 2억 원 수수’ 같은 내용이 등장해도증여세 납부 내역이 있는지 없는지 관련 자료는 제출하지 않았다고 한다. 일반인이었다면 세무조사 통지서를 들고 조사관이 출장까지 나섰을 상황이다. ‘법 앞의 평등이 허울에 불과하다는 씁쓸함을 지울 수 없다.


조세 정의는 국가 신뢰의 초석이다세금이 공정하게 걷히고 투명하게 쓰인다는 믿음이 깨지면 납세 순응도는 무너진다성실 납세자 포상제나 전자신고 편의 확대만으로는 부족하다권력층의 탈세 의혹은 철저히 조사해 결과를 공개하고청문회 이전 단계에서 국세청이 예비 검증을 제도화해야 한다그래야 호랑이는 약자만 문다는 냉소를 거둘 수 있다.


5천만 원 이하 증여에 간편 신고’ 제도를 도입하는 것도 대안이다신고 절차가 복잡할수록 전문가 비용이 늘어나고결국 중산층 이하 국민이 더 많은 비용을 부담하게 된다제도는 단순하고 명료할수록 평등하다.


우리가 바라는 사회는 간단하다자녀에게 5천만 원을 주며 세금 걱정 없다고 말할 수 있는 부모배우자에게 1억 원을 건네며 납부 서류도 챙겼으니 마음껏 써라고 안심시킬 수 있는 부부가 특별하지 않은 나라다.


호랑이는 모두에게 같은 크기로 보여야 한다권력자에게만 발톱을 감추는 호랑이라면국민의 신뢰는 등을 돌릴 수밖에 없다겁을 줄 거라면 공평하게지켜줄 거라면 빈틈없이그 단순한 원칙이 지켜질 때 세금은 공포가 아닌 공정사회의 버팀목이 된다국민들은 지켜보고 있다청문회 이후국세청의 대응을.....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6-28 09:49:43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최근 많이 본 기사더보기
뉴스제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