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hong 기자
【오산인터넷뉴스】이영주 기자 =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경기지역지부(이하 운수노조)가 ‘오산시 방문보건전담인력을 무기계약으로 전환하라’며 촉구하고 나섰다.
운수노조는 5월8일 오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 같이 주장했다.
반면 오산시는 “특정 분야의 정규직 전환을 검토하고 있다”는 미온적인 입장으로 맞서 양측의 대립각은 예민해질 전망이다.
▲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경기지역지부가 오산시 방문보건전담인력 무기계약직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운수노조에 따르면 방문건강관리사업 종사자 등 비정규직이 무기계약직 전환 대상자로 선정된 뒤 보건복지부가 각 지자체에 지령을 내렸지만 시가 이에 응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앞서 ‘2012년 12월27일 방문건강관리사업 종사자 등 무기계약 전환대상자의 무기직 전환 시점을 2015년 1월1일로 하되, 지자체장의 판단에 따라 전환시점을 변동할 수 있다’는 보건복지부 지침에 시는 23개월짜리 단기계약서를 제시했다”고 주장했다.
▲ 운수노조는 “2012년 12월 보건복지부가 무기계약직 전환 지침을 전달했지만 오산시가 이에 응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시는 2007년부터 호봉제로 운영하던 급여제도를 월150만원으로 일률 책정했다.
오산시 방문건강노동자는 간호사, 물리치료사 등 모두 7명으로 이들이 주로 담당하는 대상은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홀몸어르신·다문화 가족 등이다.
아울러 도내에서 안산·안성·의왕시는 이미 방문건강사업 종사자들을 무기직으로 전환했다.
운수노조는 “오산시가 우리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시장 및 담당자 면담, 2인 시위 등을 계획하고 있다” 며 “현재 수혜자를 대상으로 서명운동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시 관계자는 “오산시 비정규직 가운데 특정 분야만 우대해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일은 아직 검토 단계”라고 말했다.